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⑤>

by cysm0101 2023. 1. 10.

심비대와 심부전

(1) 심부전의 원인
심부전(cardiac failure)이란 심장이 말초가 필요로 하는 박출량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그 원인을 표 11-5에 제시해 놓았다.


(2) 부하의 증가와 심비대
심장은 부하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심장중량이 증가(심비대)된다. 비대해진 심장의 형태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진다. 좌심실에서 하는 일의 양은 심실내압과 박출량의 곱으로 나타내는데 이것으로 알 수 있듯이, 두 종류의 부하는 구별된다. 하나는 압력부하(pressure load )로서 고혈압이나 대동맥판 협작이 있는 경우에 증가한다.

 

 하나는 용적부하(volume load)로서 승모판 페쇄부전이나 대동맥판 폐쇄부전이 있는 경우에 증가한다. 압력부하에서는 심실벽이 두꺼운 구심성 비대심장(concentric hypertrophy, 그림 11-11A)이 되고, 용적부하에서는 내강이 넓은 확장성 비대심장(eccentric hypertrophy, 그림 11-11B)이 된다. 어느 쪽이든 조직학적으로 심근세포의 현저한 비대가 관찰된다(그림 11-12)


(3) 심부전의 장기 변화
심장의 펌프기능이 저하됨으로써 동맥 쪽에는 혈류의 부족(핀혈)이 초래되고, 정맥쪽에는 혈류의 정체(stagnation)가 초래되어 각각 전방부전, 후방부전이라고 한다. 특히 만성 심부전에서는 후방부전이 강조되는데, 이것을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이라고 한다

 

폐의 변화
좌심부전에서는 울혈이 좌심방과 폐정맥, 폐내 모세혈관까지 영향을 주어 모세혈관 내압이 상승하고 혈액 성분이 폐포 안으로 누출된다. 이것이 폐부종이다. 폐부종 환자는 폐포 안의 함기(습 )가 방해를 받아 호흡곤란을 호소한다. 특히 침대에서 위를 보고 반듯하게 누운 상태에서는 발작성 호흡곤란을 일으킨다(심장천식). 이것은 중력 관계로 폐내 울혈이 심해지기 때문인데, 상체를 일으켜 주면 호흡이 편해진다(기좌호흡). 폐정맥과 모세혈관의 울혈은 페동맥의 혈압을 상승시켜 속발성 폐고혈압증을 일으킨다. 폐고혈압증에서는 폐동맥이 발달된 중막평활근을 가지고 있어 연축(스파즘)을 일으키기 쉬운데, 연축을 일으켜 혈류가 단절되면 지배영역의 모세혈관 내피에 허혈성 손상과 투과성 항진이 초래되어, 폐에 출혈병소가 생긴다. 대식세포가 폐포 내에 누출된 적혈구를 탐식해 파괴하고, 헤모글로빈의 분해산물인 헤모시데린이라고 하는 갈색색소를 포체 내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대식세포를 심부전세포라고 한다. 심부전환자의 객담에 종종 피가 섞이거나 갈색을 띠는 것은 이 때문이다.


간의 변화
울혈성 심부전에서는 간에도 병변이 형성된다. 원래 간소엽에서의 혈액관류는 글리슨 초(Glisson's sheath)의 유입혈관(문맥과 간동맥)과 중심정맥 사이의 혈압 차이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심부전으로 정맥압이 높아지면 소엽 중심부에 울혈과 필혈이 일어난다. 이렇게 되면 이 부분의 간세포는 대사기능이 장애를 받아 위축되어 지방변성이 나타난다. 간을 자른 단면이 육두구(nutmeg)의 열매를 자른 단면과 비슷하기 때문에 이것을 육두구간(mnutmeg liver)이라고 한다.

 

부종
심부전에서 정맥압의 상승은 조직에서 물의 출납 균형을 무너뜨려, 피하나 체강(흉강과 복강)에 지나친 수분의 정체를 초래한다. 이것이 심장성 부종이다. 심부전에서는 신장에도 울혈이 일어나며 그 결과 펌뇨가 나타난다. 그렇게 되면 수분이나 나트륨이 체외로 배셜되지 않아 부종은 더욱 심해진다. 심부전 환자에 대해서는 강심제뿐 아니라 이뇨제를 써서 소변량을 증가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