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PATHOLOGY <소화기[상부소화관]-침샘, 턱, 식도 질환>

by cysm0101 2023. 1. 13.

[ 침 샘  질 환 ]

염증성 질환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쉐그렌 종후군과 미쿨리츠 증후군에 대해서 살퍼보겠다.

 

(1) 쉐그렌 증후군 (Sjogren syndrome)
건조성 각절막염, 구강건조종 및 침샘. 귀밑샘이 부어오르는 중상이 나타나며, 면역학적 기전에서는 침샘이 파괴되는 질환으로서 눈물샘도 손상된다. 30~50대의 중년여성에게 많으며.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다른 교원병을 동반하기 쉽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침샘의 선방, 도관의 위축 및 림프액 여포형성을 동반하는 강한 림프구 침윤을 볼수 있다(그림 13-2).

(2) 미쿨리츠 증후군(Mikulicz syndrome)
침샘, 눈물샘 양측에 통증이 없이 부어오르는 증상을 동반한다. 백혈병의 침윤이나 육아종성의 염종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쉐그렌 증후군이 원인이 된다.


종   양

(1) 다형성 선종(pleomorphic adenoma)
주로 20~40대의 여성의 귀밑샘에서 발생한다. 보통은 단발성이며 양성(2~5%가악성)이다. 경계가 명료하고 피막이 있는 것이 많다. 조직은 다양하여. 선관. 삭상. 혹은 폐포병소 구조를 나타내는 상피성 부분, 근상피세포의 중식부분이 있고 방추형 세포가 성글게 배열되어 있으며, 기질은 점성 물질이 풍부한 간질구조(myxomatous)이고, 유리모양이나 연골모양의 조직 등이 혼재되어 있다(그림 13-3). 두 개의 배엽(상피성과 비상피 <간엽>성의 요소)이 혼재되어 있는 것처럼 보이므로
혼합종양 (mixed tumor)이라고도 한다.

(2) 기타 종양
 Warthin씨 종양
도관에서 유래하는 양성 선종으로서, 호산성 세포로 이루어진 선관과 림프여포를 합유하는 립프조직으로 이루어 진다(adenolymphoma, papillary cystadenoma Wmphomatosum). 40~ 50대 연령충의 남성의 귀밀샘 부위에 많이 발생한다.

 

점액표피양암종 (mucoepidermoid carcinoma)

편평상피 계통의 세포가 가장 많으며, 점액과 약간의 점액세포가 섞여 있는 보기 드문 악성 종양이다. 30~40대 연령충의 여성에게 비교적 많이 발생한다.

 

 원주종(cylindroma, 선양낭성암종<adenoid cystic carcinoma>)
비교적 많이 볼 수 있는 악성 종양이다. 40~70대 연령총의 여성에게 비교적 많이 발생한다. 귀밑샘에 혼히 발생하지만 작은 침샘에도 발생한다. 조직에서 샘관 형성과 체모양(cribriform) 구조가 특징적이다.

 

[ 턱 질 환 ]

치원성 낭포 (odontogenic cyst)와 치근낭포 (radicular cyst)

치아의 발생에 관련해서 각화 낭포, 치은 낭포, 함치성 낭포 등이 턱뼈에 생긴다. 치근 낭포는 치아 주위조직 내의 잔존 상피가 염증 때문에 증식하여 낭포를 형성한 것이다.

 

 에나멜 상피종(ameloblastoma)

20~30대 연령층에서 아래턱 대구치(큰어금니)부위에 혼히 발생하는 종양으로, 양성과 악성이 있다.

 

[ 식 도 질 환 ]

▶ 기 형

폐쇄. 협착, 호흡기 계통과의 누공 형성(fistla)이나 게실(divericulum) 등이 있다.

 

 기능적 장애

(1) 아칼라시아(achalasia, 분문경련증<cardiospasm>)
식도의 연동과 식도 하부 팔약근의 협조가 잘 이루어지지 않아 내압이 상승해, 삼킴 곤란을 초래하는 질환이다. 오래 지속되면 내강이 확장된다.
(2) 말로리-와이스 증후군 (Mallory-Weiss syndrome)

식도의 운동장애나 알코올 등의 장애로 점막에 긴축 방향으로 균열이 생기는 병태이다. 식도와 위의 경계부위에 흔히 발생하며 출혈의 원인이 된다.

 

 식도정맥류 (esophageal varix)

하부 식도의 점막 밑이나 외막의 정맥이 확장된다. 문맥압 항진증(간경변이나 색전이 원인이 되는 경우가 많다)으로 측부순환이 발생합으로써 형성된다. 대출혈을 일으킬 수도 있다.

 

  식도염 (esophagitis)

부식제를 잘못 복용하여 생긴 출혈성 또는 궤양성의 식도염과, 위액의 역류에 의한 역류성 식도염 등이 있다. 그 외에 진균의 기회감염으로 발생하기도 한다.

 

종 양

(1) 식도암 (esophageal cancer)
50~60대 연령총에서 중간 부분 식도에 많이 발생한다. 조직학적으로는 90~95%가 편평상피이다. 선암이 1~2%로 나타나지만, 발생에는 바레트(Barre)식도가 관련되어 있다. 바레트 식도란 식도 하부가 원주상피로 덮이는 병태로 접막 손상에 대한 수복과정에서 형성된다. 바레트 식도에서는 이형성이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은 전암성이라고 생각된다.
식도암의 치료는 어렵고 예후가 나쁜 경우가 많다. 조기암에서도 60% 정도가 생존율이 5년이다. 종격에서 기관이나 기관지, 폐 등으로 직접 침윤하여 혈행성, 림프성으로 쉽게 전이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