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질 환 ]
▶기형
유문협착증(pyloric stenosis), 게실이나 이소성 춰장 등이 있다.
▶위염 (gastritis)
(1) 급성 위염
점막의 미란성 손상을 말한다. 미란은 점막에 국한된 조직의 결손을 말한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점막의 괴사나 출혈을 동반하는 삼출성의 변화가 보인다. 스트레스, 부식독, 알코올이나 그 밖에 약제, 기생충, 헤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 그림 13-4)나 진균류 등이 병의 원인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경을 통한 혈관반응으로 점막에 일과성 허혈이 일어나 조직이 손상된다.
(2) 만성 위염 (위축성 위염, B형 위염)
점막 고유총에 림프구나 형질세포 등의 염증세포가 침윤해, 만성 염증이 일어나는 병태이다. 주된 원인은 헤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다. 만성 위염에 다시 다핵 백혈구가 침윤된 것을 만성 활동성 위염(chronic active gastritis)이라고 하는데(그림 13-4),점막이 위축되고 장 상피화생이 발생한다.
(3) 자가면역성 위염(A형 위염)
벽세포에 대한 자가항체가 생산되고, 벽세포가 파괴되어 위체부에서 위축이 일어난다. 무산증이 되며 악성 빈혈이 동반된다.
▶위궤양 (gastric ulcer)
점막하조직에서 심부에 걸쳐 조직이 결손된 것을 궤양이라고 한다.
(1) 급성 궤양 (acute ulcer)
조직괴사, 출혈과 삼출성의 변화를 나타낸다. 발생하는 장소에 규칙성이 없이 위체부와 위저부에 많이 발생한다. 형태가 고르지 않고 다발성인 경우가 많으나 치유하기 쉽다. H. plori 감염, 부식독, 알코올이나 약물 등에 의해서 발병하지만, 스트레스에 의한 점막 국소의 일과성 허혈도 원인 중 하나이다.
(2) 만성(소화성) 궤양 (chronic <peptic> ulcer)
난치성이며 만성으로 경과하는 원형 또는 타원형 궤양으로 직경이 lcm 전후이며 단발하는 경우가 많다(그림 13-5). 위각부 소만쪽의 약간 뒷벽에서 많이 발생한다. 궤양바닥이 굳은살 모양으로 비후된 것을 변지성 궤양, 궤양이 천공되어 복강과 통해 있는 것을 천공성 궤양, 또 천공되어 있지만 주위 장기로 장막쪽이 덮여 있는 것을 천통성 궤양이라고 한다.
위산에 의한 소화가 주된 원인이지만, 헤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j) 위염이 중요한 배경 병변이며, 점막의 저항성 약화가 문제가 된다. 공격 인자(산성 소화액)가 점막방어인자(점액이나 혈류)보다 강하여 발병한다고 설명할 수 있다.
▶폴립과 종양
(1) 과형성성 폴립 (hyperplastic polyp)
위오목 과형성, 점액선과 부종상 간질조직의 층식으로 생기는 폴립이다. 구성 세포는 모두 비종양성이며, 염증성 반응으로 생긴다고 생각된다. 암으로 진행되는 경우는 드물다(수 % 이하).
(2) 선종(adenoma)
장상피화생이 있는 위축성 위의 유문전정부에서 위체부에 걸쳐 발생하며, 병변은 높이가 낮고 폭이 넓은 융기(나방유충 모양 융기)를 나타낸다. II a형 조기위압과의 감별이 문제가 된다. 조직학적으로는 이형성을 나타내는 장형 원주상피와 술잔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위암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 병태가 암으로 진행되는 비율은 높지 않다.
▶위암 (gastric cancer)
50~60대에 많이 발생하며, 발생 부위는 주로 유문전정부 소만쪽이다. 침윤이 점막과 점막하층에 국한되는 것을 조기암이라 하고 고유근층 이상까지 침윤되는 것을 진행암이라고 한다(전이의 유무는 문제삼지 않는다).
(1) 진행암의 분류(Bormann 분류)
네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1형 : 국한성, 고립성의 폴립모양 암. 2형 : 제방모양의 둘레와 선명한 경계가 있는 국한성 궤양형 암. 3형 : 제방모양의 둘레가 부분적으로 있지만 주위로 침윤하는 궤양화된 암. 4형 : 광범위하게 침윤하는 암(그림 13-6A). 이 중에서 3형이 가장 많다. 4형 위암에서는 위벽 전체가 비후되어 단단해지기 때문에경암, 또는 스키라스형 위암(cirhous cancer)이라고 한다.
(2) 조기암의 분류
조기암은 3형으로 나눈다. I 형은 융기형, II 형은 평탄형인데 이것을 다시 세분하여 약간 용기된 것은 II a, 거의 평탄한 것은 II b, 미란성의 않은 함요가 있는 것은 II c로 분류한다. 피 형은 함요형으로서 위궤양의 가장자리에 암이 있는 것(그림 13-6B)이다. 이러한 기본형으로 분류할 수 없는 것으로는, 우세한 특징의 형태에 해당하는 기호를 앞에 쓰는 식의 가법(표)기호로 표현한다. 일상적인 임상에서는 II c형과 II c+ III형이 많다.
(3) 조직의 분류
조직의 분류에서는 형태적 특징을 기술하는 방식으로 실시한다(표 13-1). 유두모양선암이나 중 . 고분화형의 관상선암(그림 13-7)은 분화형(장형<intestinal type>)이라하고, 저분화형과 인환세포암(그림 13-8)은 미분화형(광범형 <diffuse type>)이라고 총칭한다.
분화형 선암은 장상피화생이 있는 위축성 점막에 발생하고, 미분화형 암은 고유의 위점막에서 발생한다. 분화형 선암과 미분화형 암의 발생 비율은 대략 1:1이지만, 고령자나 남성의 경우 분화형 암이 많은데 비하여, 연소자나 여성의 경우 미분화형 암이 많다. 육안형과의 대비에서는 고분화형은 국한성이며 팽창형이고, 미분화형은 궤양형이 되기 쉽다. 스키라스형은 미분화형 암에서 진행된 것이다.
(4) 위암의 진전
분화형 암은 림프성과 혈행성으로 전이한다. 미분화형 암은 혈행성 전이는 일으키지 않고 림프성과 직접 파종으로 퍼지기 쉽다. 전이가 쇄골하 림프절에서 보이면 비르효(Virchow) 전이, 복강 내에 파종되면 암성 복막염(peritonitis carcinomatosa), 난소에 전이된 경우는 크루켄베르크(Krukenberg) 종양, 더클라스오목에 전이된 경우는 슈니흘러(Schnitzler) 전이라고 한다.
▶비상피성 종양
벽재성의 종양으로서 평활근, 헐관이나 림프관, 간질세포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점막의 림프조직에서 발생하는 MALToma나 악성 림프종 등이 있다.
(1) 소화관 간질종양 (GIST: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과 평활근종(육종)
위벽에는 평활근 세포에서 유래한 총양과 신경계에서 유래한 종양이 있지만, 감별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들을 간질종양(stromal tumor)이라고 총칭했다. 그 후 e-kit 유전자나 CD34 등을 발현하는 카하르(Cajal)세포(소화관 평활근충의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한다)에서 유래하는 것이 많다고 밟혀져서, 이것은 좁은 의미의 GIST가 되었다. GIST는 고립성이며 양성인 것에서부터 침윤성이며 악성인 것까지 다양한 형태가 있다. 양성인가, 악성인가의 진단은 조직 이형성과 분열상의 과다와 이형도가 기준이 된다. 평활근이나 내분비세포로 분명하게 분화되어 있는 경우는 평활근종(육종)이나 카르시노이드(carcinoid) 종양으로 진단한다.
(2) MALT 림프종(MALToma)과 악성 B세포림프종
소화관점막에는 점막연관림프조직(MALT: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이라고 불리는, 여포를 동반한 림프조직이 있다. 위의 MALT는 H. pwori 감염에 관련해서 형성되지만, CCL세포(centrocyte-like cell)의 증식이 강해 종양성이라고 판단되며, 이 림프구의 침윤에 의해 선관이 파괴되는 소견 LEL(ymphoepithelial lesion)이 있는 것을 MALT 림프좋(MALToma)이라고 한다. 이것은 B세포성이며 악성도가 낮은 림프종이다. H. pylori 균을 제거함으로써 치유된다. 위에는 악성도가 높은 광범위성 B세포 림프종도 발생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