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PATHOLOGY <내분비계[갑상선과 부갑상선]-③>

by cysm0101 2023. 1. 17.

[갑상선]

갑상선이란 갑상선호르몬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내분비장기이며, 갑상선질환은 내
분비질환 중에서 가장 발병빈도가 높다.

 

갑상선의 작용

갑상선은 기관(했짧)의 앞벽에서 측벽에 걸쳐 있으며 주로, 여포를 형성하고 있는 여포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여포세포로부터 트라이요오드 타이록신(T3), 타이록신(T4)과 같은 갑상선호르몬이 합성되어 분비된다. 또 갑상선 여포 사이에는 C세포가 존재하고 있어, 이것이 골(뼈) 흡수를 억제하고 혈중 칼습농도를 저하시키는 칼시토닌을 합성해서 분비하고 있다.
갑상선호르몬의 중요한 원료의 하나는 요오드이다.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분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뇌하수체전엽에서 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이다.

 

상선의 질환

(1) 갑상선종 goiter-갑상선의 과형성
갑상선종은 단순성 갑상선종(simple goiter) 또는 선종모양 갑상선종(adenomatous goiter)이라고 부르는 병변이다. 이 병변은 갑상선 기능에 이상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갑상선이 광범위하게 또는 국소적으로 커져 보이는데, 그 원인이 되는 염증이나 종양 등이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2) 갑상선의 염증성 질환
 아급성 갑상선염 (subacute thyroiditis)
아급성 갑상선염은 충년 여성에계서 비교적 많이 발병하며, 상기도 감염 후에 갑상선에 뚜렷한 염종 소견이 나타난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육아성 병번을 동반한 뚜렷한 염증성 세포침윤을 들 수 있다.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 (chronic lymphocytic thyroiditis)
만성 림프구성 갑상선염은 갑상선의 자가면역 질환으로서, 이 질환을 최초로 보고한 큐슈대학의 하시모토(차 박사의 이름을 따서 하시모토병이라고도 불리고 있다. 이 질환은 다른 자가면역 질환과 같이 중년 이후의 여성에게서 매우 많이 발
생한다. 갑상선의 타이로글로불린이나 여포상피 내의 마이크로솜 분획에 대하여 자가 항체가 생기며. 병태로는 자가면역에 의한 갑상선 실질세포의 파괴. 갑상선호르몬의 파괴를 들 수 있다. 그리고 결과적으로는 갑상선호르몬의 합성이 감소되고, 갑상선자극호르몬의 과잉분비로 갑상선이 부어오른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갑상선의 간질에 림프여포의 형성을 동반한 림프구의 침윤과 갑상선 여포세포의 염증에 의한 파괴와 호산성 변성을 들 수 있다. 임상경과는 느리게 진행되는 경우가 많지만, 최종적으로는 갑상선 기능저하증이 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3) 갑상선 종양 (thyroid neoplasms)

갑상선의 종양은 선종과 암으로 분류된다.

 

갑상선 선종
갑상선 선종은 여포성 선총(follicular adenoma)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여포성선중은 원칙적으로 단발성이며, 피막을 가지고 경제가 선명하다. 조직학적으로는 소형의 여포구조를 나타내며 증식하고 선강의 크기는 다양하다.

 

 갑상선 암
갑상선암은 병리조직형에 따라 병태와 예후가 달라지기 때문에, 병리조직형을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 유두암 (papillary carcinoma) : 유두암은 20대 이후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갑상선암의 70~80%를 차지하는
발병빈도가 가장 높은 암이다. 유두암은 단층의 상피세포가 결합조직이나 혈관 등의 지지조직을 중심으로 유두 모양으로 증식하는 것이 특징이지만, 여포 또는 선관을 형성해 증식하기도 한다. 이 암에서는 핵내 봉입체, 커피콩과 같은 핵구가 보이는 것이 세포학적인 특징으로 천자흡인 세포진 검사에서는 이것이 매우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그림 14-5).

 

   - 여포암 (follicular carcinoma)
여포 구조를 나타내며 증식해 가는 암으로, 40대 이상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여포상피만으로는 여포성 선총과 감별이 되지 않으며. 혈관침습과 명확한 피막침습이 있다는 소견이 있어야 여포암으로 진단할 수 있다.

 

   - 미분화암 (undifferentiated carcinoma, anaplastic carcinoma)
여포암이나 유두암과 같은 갑상선암의 예후는 일반적으로 양호하지만, 이 미분화암은 예외이다. 갑상선암 전체에서 약 10%를 차지하며 고령자에게 많이 발생하는데, 종양세포의 증식이 매우 빨라. 어떠한 치료를 해도 6~12개월 이내에 결국 사망하는 예후가 매우 나쁜 암이다. 조직학적으로는 미분화한 거대세포, 방추형 세포, 소형 세포로 구성되어 있어, 세포이형성이 매우 높다.

   - 수질암 (medullary carcinoma)
수질암은 갑상선의 C세포가 암화된 질환으로, 칼시토닌을 합성하고 분비하기도 한다. 약 1/4이 다발성 내분비선증(multiple endocrine neoplasia: MEN)의 일환으로 가족성으로 발생한다. 이 중에서 갈색 세포종을 합병하는 MEN 11형이 많은데. 이것을 시플(Sipple) 증후군이라고도 한다. 피막이 분명하지 않고 자른 면이 회백색을 딴다(그림14-6). 병리조직학적으로 여포구조나 유두구조는 없고, 다른 신경내분비 세포에서 유래하는 암과 공통된 형태소건을 갖는 경우가 많아, 혼히 신경내분비계의 마커가 양성이 된다. 또 종양세포에서 칼시토닌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또 간질에서는 유리화소견 외에 아밀로이드 침착도 나타내며(그림 14-6), 예후는 비교적 양호하다.

 

(4) 갑상선 기능항진증(갑상선호르몬 과잉증)
갑상선 기능항진증은 바세도우병(Basedowv disease, Graves diseasc)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20~40대의 비교적 젊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이 바세도우병도 하시모토병(튜추 과 같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감상선자극호르몬 수용체에 대한 자기항체가 생겨, 그 자가항체에 의해 수용체가 지속적으로 자극을 받아 감상선호르몬의 생산이 항진되는 것이다.
갑상선은 년은 범위로 부어 오르고, 여포상피는 키가 매우 크고 콜로이드 흡수상으로 보이는 콜로이드 상피 주변에 공포(vacuole)상을 나타낸다.

 

(5) 갑상선 기능저하증
갑상선의 기능저하에는 후천성과 선천성의 병태가 있다. 후천성의 경우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발병하며 선천성의 경우는 크레틴병(cretinism)이라고도 불리는데 갑상선의 형성이상, 감상선호르몬의 합성장애 등이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부갑상선 (parathyroid gland)]

부갑상선

부갑상선은 상피소체라고도 불리며, 부갑상선호르몬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조직이다. 매우 작은 장기이지만, 호르몬 과잉증이 되면 칼슘 대사에 큰 영향을 주어 심각한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다.

부갑상선의 작용

부갑상선은 보통, 갑상선의 가쪽 뒷면의 좌우상하에 한 개씩. 모두 네 개가 있다. 그러나 부갑상선은 태생기의 제3, 제4새낭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종격이나 홍선에 있는 경우도 있다. 부갑상선에서 합성, 분비되는 호르몬은 부갑상선 호르몬(parathormone: PTH)으로, 뼈에 작용해서 뼈흡수를, 그리고 신장의 원위세뇨관에 작용해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하거나 혈중의 칼슘이온을 증가시킨다. 부갑상선 호르몬은 생체의 칼습대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부갑상선 질환

부갑상선 기능항진의 병변은 과형성 병변과 종양성 병번으로 나눌 수 있다.

 

(1) 과형성 (hyperplasia)
부갑상선의 과형성은 부갑상선 그 자체에 원인이 있는 원발성 부갑상선 과형성과 저칼슘혈충에 대응해서 부갑상선이 과형성되는 속발성 과형성으로 분류된다. 이들의 특징은 부갑상선 네 개 선(휘)의 비대와 총창을 동반한다.
부갑상선 호르몬이 과잉 생산되면 혈중 칼슘농도가 증가하고 빼에서는 골막하 흡수 현상이 현저해져 뼈의 강도가 낮아지며 신장에서는 요로걸석이 자주 발생한다.

 

(2) 종양
부갑상선 선종 (parathyroid adenoma)
원발성 부갑상선 기능항진층의 80~90%를 차지하는 것이 부갑상선 선종이다. 부갑상선 선종은 그 대부분이 단발성이다. 여성에게서 비교적 많이 발생하는데, 혈중 칼슘농도가 매우 높아지며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을 나타낸다. 병리조직학적 대부분의 중례에서 주세포의 광범위성 증식 동태 또는 위()선강 모양의 증식 동태를 나타낸다.
 부갑상선 암 (parathyroid carcinoma)
부갑상선암은 부갑상선 기능항진종에서 몇 % 밖에 차지하지 않는, 비교적 보기 드문 질환이다. 크기는 선종에 비해 약간 크다.


(3)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은 보기 드문 질환으로 특발성과 속발성으로 나눌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