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PATHOLOGY <생식기[여성 생식기와 유선-외음부 질환]>

by cysm0101 2023. 1. 27.

*여성 생식기와 유선

여성 생식기는 외음부, 질, 자궁(경부 및 체부), 부속기(난소 및 난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기에는 염증과 유종양 병변, 총양성 병변이 발생할 수 있다. 염증성 질환으로는 외음부로부터 질과 자궁경부를 침범하는 성감염증이 중요한테
최근에는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등의 새로운 질환도 포함하여 염증성 질환이 중가하는 경향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증은 자궁경부암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종양 병변 중에서 자궁내막증은 다른 질환과 혼동하지 말아야한다. 종양성 질환으로는 자궁경부암, 자궁체암, 자궁근총, 난소총양, 응모성 총양 등이 중요하다. 자궁은 그 부위에 따라서 발생하는 종양의 종류가 다르다. 전암 병변으로 자궁경부에는 이형성과 상피내암이 있고, 자궁체부에는 자궁내막증식증(특히 자궁내막이형증식종)이 있어 그 개념이나 암과의 관계를 총분히 이해할 필요가 있다. 자궁근종은 여성에게 생기는 종양 중에서 가장 발병빈도가 높은 총양의 하나이다. 난소종양은 양성~경계 악성~악성종양(난소암)이 있어, 발생 기원과도 연관시켜 질환을 복잡하게 분류하고 있는데. 각각의 특성에 대해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 여성생식기의 최대의 기능인 임신에 관련된 질환이나 태반에 관련된 종양으로서 응모성 종양(포상기태 및 융모암)도 중요하다 유선은 본래 여성생식기는 아니지만, 여성 특유의 질환이 여기에서 발생한다. 특히 유방암은 증가 경향에 있으며, 우리나라 여성이 걸리는 악성 총양 중에서도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질활이다. 유방암과 구별해야 할 질환에는 섬유선종이나 유관내 유두총 등의 양성 질환과, 섬유낭포변화(이른바 유선증)가 있다. 그러나 유방암을 비롯한 유선질환은 남성에게서도 일어날 수 있다. 

 

[외음부 질환]

<<정상 구조>>

여성생식기 가운테 자궁이나 난소 등 골반 내에 존재하는 장기는 내음부(내성기)라고 불린다. 그에 비해, 몸의 표면에 있는 생식기는 외음부(외성기)라 총칭하고 있다. 이 안에는 치구, 대음순, 소음순, 음핵, 전정구, 바르톨린(Bartholin)선, 질전정, 스킨(Skene)관 등이 있다. 대음순은 남성의 음낭에 해당되고, 음핵은 음경에 해당된다.

 

외음염 (vulvitis)

외음에서는 성감염층(sexual transmitted disease: STD)이 많이 발생한다. 감염경로는 그 질환에 걸려 있는 상대와 성적으로 접촉함으로써 감염되는 직접감염의 형태를 취한다. 임질(임균이 원인), 매독(매독 스피로헤타가 원인 : 제2기 매독으로서 편평콘딜로마 등), 헤르페스감염증(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가 원인), HV(에이즈)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병변, 클라미디아감염중, 진균감염증(칸디다 등) 등이 발생한다. 바르톨린선염은 체표면으로부터 병원체가 침입하여 발생한다. 이전에는 임균에 의한 감염도 있었지만, 현재는 일반 세균에 의한 것이 많다. 이것이 심해지면 바르톨린선농양이 되고 또한, 염증이 생긴 후에 도관이 막히면 바르톨린선낭포가 생기기도 한다. 그 밖에, 외음부에서는 다른 신체 부위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비특이적인 염층성 질환이 일어날 수 있다.

 

외음부의 유종양 병변

(1) 첨형 콘딜로마(condyloma acuminatum)
사람 유두총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의 감염에 의해서 일어나는 성감염증(STD)의 일종이며, 외관이 유두모양의 형태를 나타낸다. 같은 병변이 요도나 항문 주위, 질, 자궁경부 등에도 생기는 경우가 있으며, 병변이 많이 발생할 수도 있다. 조직학적으로는 섬유혈관성 간질을 동반하고 중층편평상피가 유두모양으로 증식한다

 

외음부의 악성 종양

(1) 이형성 (dysplasia) 및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 CIS)
외음부를 덮은 중총편평상피 안에 이형 세포가 나타나지만, 이것이 상피 안에 머물러 있어 침윤성 중식을 나타내지 않은 상태이다. 자궁정부에 준해서 최근에는 이들을 일련의 상피내종양성 병변으로 다루는 추세에 있어, VIN(vulvar intraepithelial
neoplasia)이라고 총칭하고 있다. 3단계로 분류(VIN 1-3)하는데, VIN3에는 보엔(Bowen)병 등이 있다.

 

(2) 편평상피암 (squamous cell carcinoma)

외음부에 발생하는 악성 종양 중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이형성~상피내암을 거처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또한, 외음백반증이나 외음위축증의 발생병변이 될 수도 있다.

 

(3) 유방외 파제트병 (extramammary Paget disease)

팜샘관이 표피 내를 관통하는 부분에서 발생하는 선암이라고 생각되고 있으며, 유방 파제트병과 마찬가지로 암세포가 표피 내에 붙어서 뻗어나간다. 육안으로는 습진처럼 보이며. 국소 진행성이 강하고 절제 후에도 재발하기 쉽지만, 침윤암으로 진행하지 않는 한 예후는 좋다(그림 17-1).

(4) 기타 악성 종양
기저세포암, 선암, 악성 흑색종양 등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