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PATHOLOGY <생식기[자궁체부의 질환-②]>

by cysm0101 2023. 1. 29.

 (2) 자궁체암(자궁내막암)(uterine corpus carcinoma<endometrial carcinoma>)

서양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근래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폐경 후(6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한다. 부정 성기출헐이 주된 증상이다. 상당수의 내막암은 그 발생에 에스트로젠이 관여한다고 생각되며, 암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출산 경력이 없는 부인, 고혈압, 비만, 당뇨병, 만기 폐경., 난소좋양의 합병 등을 들 수 있다. 육안으로는 흔히 폴립모양의 융기성 종양을 볼 수 있지만. 광법위한 비후를 나타내기도 한다. 조직학적으로는 대부분이 선암이며, 80% 정도가 유내막선암(endometrioid adenocarcinoma)이다(그림 17-7). 분화도에 따라서 고분화(G1), 중분화(G2), 저분화(G3)로 아분류한다. 다른 조직형으로는, 편평상피로 분화하는 유내막선암(편평상피성분에 이형이 있으면 선편평상피암이고, 없으면 선극세포암이다). 장액성 선암, 점액성 선암, 명세포암, 편평상피암 등이 있다. 최근에는 알의 발생부위나 조직형의 특징으로 자궁내막암 전체를 두 가지 형태로 분류하고 있다(17-3).

 

자궁내막암이 진형되면 근육충여 침윤하고, 도 국소를 난관 방향(난소 복막 파종)이나 자궁경부, 질, 자궁결합조직으로 널현다. 또는 직장이나 방광에 직접 침윤하는 경우도 있다. 원격전이는 국소 림프절 외에 혈행성으로 간이나 폐., 력에 전이시키고 난관을 거적 북막 파종 동을 초레한다.

 

(3) 상피 . 간질성 혼합종양
암종(상피성 악성종양)성분과 육종(비상피성 악성종양)성분이 혼재하는 종양을 러관 혼합종양(Mullerian mixed tumor)이라고 한다. 이 중에는 육종 성분이 골육종이나 횡문근육총 등의 이소성 성분을 함유한 중배엽성 혼합종양과 그것들을 함유하지 않는 (동소성) 암육종(carcinosarcoma)이 있다. 모두 예후가 나쁜 종양이다. 또, 상피성분이 양성이고 간질성분이 악성인 경우는 선육종adenosarcoma)이라고 하는데, 여기에는 동소성과 이소성 총양이 있다. 이들 상피.간질성 혼합종양은 자궁내강에 폴립형태로 튀어나온 모양을 형성하는 경우가 많다

 

 자궁근층에 생기는 종양

(1) 평활근종 (leiomyoma, 자궁근종 <myoma uteri>)
여성 생식기의 좋양 가윤데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 총양이다. 성적 성숙기의 여성에게 많이 발생한다. 자궁 평활근층에 주로 발생하는데. 경부에 발생하는 정우도 있다. 좋양이 단발성으로 형성되기도 하지만, 다발성으로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 종양에는 피막이 없으며. 정계가 평료하고 추위 조직을 압박하듯이 증식해 나간다. 조직학적으로는 평완근 다짧이 과타형성된 것이다(그림 17-3). 종양이 발생하는 부위에 파라서 특칭이 있는테, 내막하근종의 경우는 내막 아래의 폴립 형태를 취하며, 부정출혈이나 월경과다를 일으킨다. 장막하근종의 경우에는 자궁 밖으로 돌출하거나 비틀리기도 한다. 또, 어떤 부위에 생긴 총양이라도 점액 변성유리화, 남포 변성. 석회화 등의 2차 변성이 동반될 수 있다. 평활근종에서 악성화되
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2) 평활근육종 (leiomyosarcoma)
자궁근총에 생기며 평활근에서 유래한 육좋이다. 평활근총에 비해 세포밀도가 높고, 핵 이형이 강하며, 핵분열상이 많이 나타난다. 또한 이상 핵분열상이나 괴사를 동반하기도 하며, 주위에 침윤성 증식을 나타내는 경우도 적지 않다.

(3) 자궁내막간질 육종 (endometrial stromal sarcoma)
자궁내막의 간질세포에서 유래하는 육종이다. 여기에는 저악성도 종양과 고악성도 종양이 있는데, 전자는 림프관내 간질근증(endolymphatic stromal myosis)이라고도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