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PATHOLOGY <생식기[유선 질환-①]>

by cysm0101 2023. 1. 29.

[유선 질환]

<<정상 구조와 기능>>

유방은 좌우 한 쌍이다. 여성의 유선은 다수의 선방(세유관)으로 이루어지는 소엽의 집합이다. 소엽에서는 좋말 유관이 나와 있으며, 최종적으로 유두부에 10개 남짓의 주유관이 존재하고 있다. 유관이나 선방(세유관)은 모두 선상피와 이것을 둘러싼 근상피, 두 종류의 상피로 덮여 있다. 형상은 연령에 따라서 달라지며, 임신시나 수유기에 현저하게 발달한다. 남성 유선에는 유관은 있지만 소엽이 없다.

 

유선염 (mastitis)

급성 유선염(acute mastitis) 충에서 정체성 유선염은 수유기의 유즙배출 장애에 의해 유방이 부어오르는 상태로서, 진정한 엄증은 아니다. 초산부에 많다. 급성 화농성유선염은 수유기에 유두의 상처로 세균이 침입해서 발생한다. 유관에 화농성 염층을 일으켜 증세가 심해지면 농양을 형성한다. 원인균은 황색 포도구균이 많다.만성 유선염(chronic mastitis)은 급성 유선염이 만성화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유관확장증(duct ectasia)에 이어서 발생하는 형질세포성 유선염(plasma cell mastitis)이 많다. 유두나 유륜 바로 아래의 유관이 확장되어, 유관벽의 섬유화나 유관 주위에 염증(형질세포 침윤)을 일으킨다. 지방괴사(fat necrosis)는 유선 내의 지방이 괴사되어, 여기에 이물질반응(육아종)이 일어난 상태이다. 외상, 순환장애, 염증의 결과로 생긴다. 그 밖에 유방 확대술로 주입한 실리콘 등의 이물질에 대한 육아종, 몬도르(ondor)병(유방 피부 선조의 경화를 나타내는 피하조직의 혈전성 정맥엄) 등이 있다.

 

 섬유낭포성 변화(유선증) (fibrocystic change(mastopathy)

비종양성 ㆍ 비염증성으로 유선의 증식성 번화와 퇴행성 변화가 공존하는 병변이다. 에스트로겐 과잉 등의 내분비장애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추정되지만, 상세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다. 주로 성적 성숙기에 있는 여성에게 나타나며, 대부분은 경화된 종양으로 만져지기 때문에 유방암과의 감별이 필요하다. 병리조직학적으로 보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병변군의 집합체이며, 일부만 나타나는 것도 많다(그림 17-14). 유관 과형성(ductal hyperplasia, 유관유두종증 <duct papillomatosis>) : 유관상피 내강 안의 이상한 다층성 증식 선증(adenosis):선방의 수적 증가, 간질의 심한 섬유화를 동반하는 것은 경화성 선층(sclerosing adenosis). 소엽을 만들지 않고 맹단에서 끝나는 가는 유관이 증식하면 페색성 선증blunt duct adenosis) 낭포(cyst) : 단발 또는 다발성으로 작은 것으로부터 큰 것까지 다양. 아포크린 화생(apocrine metaplasia) 섬유증(fibrosis) 그밖에 섬유선종증(fibroadenomatosis). 소엽 과형성(obular hyperplasia) 등이 혼재되어. 이 질환들은 이전에는 유선증(mastopatly)이라고 총칭하였지만, 이와 동일한 부분 상이 정상적인 여성의 유선에서도 보이는 경우가 있다는 점에서, 현재는 질환 명칭이 바뀌었다. 한편 부분상이 나타나는 여성의 경우에는 장래 침윤성 유방암이 발생하기 특히 정도가 십한 유관 과위험인자로셔도 쉽기 패문에 유방암의 의미도 갖게 되었다. 형성인 경우에는 위험율이 2배 정도 증가한다. 또, 유관 과형성에서 암과의 감별을 필요로 하는 세포나 구조의 이형을 동반하는 경우는 이형유관 과형성(atypical ductal hyperplasia)이라고 하여, 위험성은 더욱 커진다(4-5배).

 유방암 (breast cancer)

유방암은 서양 여성에게 많이 발생하며. 특히 미국에서는 여성 7-8명 중 한 명꼴로 발병한다. 폐경 전후(40-50세)에 흔히 발생하며, 발생과 증식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유전, 호르몬, 영양, 바이러스, 방사선, 독신, 결혼 연령이 높은 부인, 초혼 및 초산 연령이 높은 부인 등으로 알려져 있다. 섬유낭포성 번화나 섬유선총과의 비교를 표 17-5에 나타내었다. 조직학적으로, 유방암은 0 비침윤암 2 침윤암 3) 파제트(Paget)병의 세 가지로 분류된다. 또, 0과 2는 유래세포에 따라 유관암(ductal carcinoma)과 소엽암(lobular carci- noma)으로 나눌 수 있다. 

뒤에 계속~~~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