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침윤암
암세포가 유관 내지 소엽 내에 국한되며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는 것으로서, 상피내암이라고도 한다. 유래 세포에 따라 비침윤성 유핀암(nonimwasive ductal carcimoma) 또는 ductal carcinoma in sit(DCIS)와 비침윤성 소엽(lobular carcinoma in situ: LCIS)이 있다.
DCIS는 유방조영술 점진 등의 영상 검사가 발달됨에 따라 진단율이 높아지고 있다. 이 가운데 코메도(comedo)형 DCIS은 암에 침범된 유관의 중심부가 괴사된 것인데(그림 17-15), 괴사부에 다시 석회화가 나타나면 맘모그래피 (mammography)상에서도 특징적인 소건을 나타낸다.
(2) 침윤암
침윤암 중에서는 침윤성 유관암(invasive ductal carcinoma)이 가장 많아, 유방암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그림 17-16). 이것은 다시 유두선관암(papilotubular carcinoma), 충실선관암(solid-tubular carcinoma), 경암(scirthous carcinoma)의 3가지 형태로 아분류하고 있다. 이 밖에도 선관 형성의 정도나 핵의 다형성, 핵분열상의 빈도에 따라 3가지의 조직학적 이형도로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조직학적 이형도 분류). 그 밖의 침윤성 유방암 으로는 점액암(mucinous carcinoma), 수질암(medullary carcinoma), 침윤성 소엽암(invasive lobular carcinoma) 등이 있다. 침윤성 유방암이 진행하면 피부나 흉근까지 침윤하는 경우가 있다. 림프성 전이에서는 암과 같은 쪽의 액와림프절로 전이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이것은 유방암 수술례의 30-40%를 차지한다. 다음으로 많은 짓이 쇄골상와 . 홍골 옆의 림프절 전이이다. 피부의 림프관 안으로 광범위하게 진행한 암은 육안으로 볼 때에는 피부염과 유사하기 때문에 염종성 유방암이라고 한다. 혈행성 전이는 페, 뼈, 간, 뇌의 순서로 많다. 유방암의 과반수가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등 호르몬 수용체를 가지고 있으며. 에스트로겐 작용이 암의 증식을 촉진한다. 따라서 암이 호르몬 수용체를 가지고 있는가를 검사하여. 양성이면 에스트로겐의 효과를 저해하기 위한 여러 가지 호르몬요법을 시행한다. 또 최근에는, 17번 염색체상의 HER-2 유전자 과잉총식의 유무를 검사하여, 양성인 경우에는 이 유전자에 대한 특이적 항체요법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3) 파제트병 (Paget disease)
유두나 유륜부의 표피 내를 암세포가 침윤하는 암으로, 임상적으로 유두에 습진이나 미란이 나타난다. 표피 내를 진전하는 암세포를 파제트 세포라고 한다. 이것은 비침윤성 유관암에 동반해서 발생하며, 그 표피 내에 암세포가 진전하면서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때로는 침윤암에 동반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 유방암 이외의 양성 종양
(1) 선관내 유두종 (intraductal papilloma)
유관 내에 발생하는 양성 유두형 총양으로, 임상적으로는 유두에서 혈성 분비물이 나온다. 확장된 유관 안에서 유두모양, 수지모양의 상피증식 병소가 보인다. 상피는 2상성(2세포성)이 유지되고 있다.
(2) 섬유선종 (fibroadenoma)
여성의 유방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종양으로 20-30대의 젊은 여성에 많다. 주위 조직과의 경계가 명료하고 단단한 고립성 총양으로서, 크기는 보통 1-2cm로 작다. 조직학적으로는 유관상피와 간질결합조직(섬유 성분)이 종양성으로 증식하는 혼합종양이다(그림 17-17). 이 질환의 발생에는 성호르몬이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3) 엽상종양 (phyllodes tumor; 엽상 낭포육종<eystosarcoma phyllodes>)
섬유선종과 마찬가지로, 유선 특유의 섬유상피성 혼합종양이다. 설유선좋과는 달리, 세포 성분에 섬유성 간질 성분이 매우 풍부하며 때로는 이형성과 핵분열 상을 나타낸다. 상피 성분에는 이형성이 없다. 간질 성분이 과잉 증식된 결과, 전체적으로 엽상(했치의 증식형태와 비슷하다. 일반적으로 총양이 크며 간질세포의 성질에 따라 양성 종양, 경계병변 종양, 악성 종양으로 나뉜다.
▶ 남성의 유선질환
(1) 여성화 유방증 (gynecomastia)
남성의 유방이 정상 범위를 넘어 지속적으로 발육하고 비대해져 형상이 여성의 유방과 비슷해지는 질환이다. 에스트로겐 과잉종이 원인이라고 생각되고 있는데, 대량의 에스트로겐 투여(전립선암 등), 고환호르몬 생산종양, 만성 간장애(간경변 등)로 인한 에스트로젠의 불활성화와 배출장애, 혈압강하제 등으로 인한 약제 투여가 원인이며 또한, 클라인펠터(Klinefelter)증후군에 동반해서 발생하기도 한다. 조직상은 유관 상피의 증식 및 유관 주위 결합조직의 부종과 증식이다.
(2) 남성 유방암
발생 빈도는 여성의 약 1/100 정도이다. 여성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조직형의 암이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여성에 비해 예후가 나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