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 PATHOLOGY <생식기[남성생식기-①]>

by cysm0101 2023. 1. 31.

[남성 생식기의 구조와 기능]

남성 생식기의 구조

남성 생식기에는 성선인 고환 외에, 부고환, 정관, 정낭, 전립선, 읍경, 음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생식을 위한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생식기 고유의 질환과 다른 장기와 공통된 질환이 있다.

 

남성 생식기의 기능

고환은 태생 7개월 정도까지 복강 내에서 서혜관을 통해 음낭 내로 내려온다. 좌우1쌍의 각각 편평한 타원체로서, 성인 남성의 경우 긴 지름이 약 3cm 정도이다. 고환은 정자를 만드는 장소이면서 또한 남성 호르몬(안드로겐)을 생산 ㆍ분비하는 내분비 장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정자는 세르톨리(Sertoli)세포로 지탱하고 있는 정세관이라 불리는 굽은 관 속에서 만들어지며, 정세관과 정세관의 사이에 산재해 있는 라이디히(Leydig)세포가 안드로겐을 생산 분비하고 있다.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는 부고환 내에서 더욱 성숙해져 정관으로 들어가, 정낭이나 전립선에서 나오는 분비물과 함께 요도를 거쳐 몸 밖으로 나온다(그림 17-18).

전립선은 방광의 하부에서 요도를 둘러싸듯이 존재하며, 성인 남성의 경우 거의 호두크기이다. 직장검사를 하면 가장자리를 직장 안에서 만질 수 있다(그림 17-19), 전립선은 육안으로 명확하게 구벌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해부학적 위치 관계가 그림 17-19에 나타나 있듯이, 사정관 주위에 분포해 있는 중심역(central zone: CZ). 상부 요도의 앞쪽 측방에 분포해 있는 이행역(ransitional zone: TZ), 그리고 요도의 원위측 후측방에 분포해 있는 변연역(peripheral zone: PZ)이라는 세 영역의 선조직으로 구벌된다. 중심역과 이행역은 지금까지 내선이라고 불리었던 부위와 거의 일치하고 변연역은 외선으로 불리었던 부위와 거의 일치한다. 사춘기 이후 고환으로부터 안드로겐 분비가 활발해짐에 따라, 이에 반웅해서 증대하는 것은 주로 변연역이지만, 중심역이나 이행역에서는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에 대한 감수성을 가지고 있다. 전립선 내의 부위에 따라 호르몬 감수성이 다른 것은, 전립선비대중 및 전립선암의 호발부위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전립선을 구성하는 샘조직은 정자의 보호나 활성화에 관여하는 산성 포스파타아제(prostatic acid phosphatase: PAP)나 전립선 특이항 원(prostate specific antigen: PSA) 등 여러 종류의 단백을 분비하고 있다

 

[고환과 부고환 질환]

잠복고환증 (retentio testis, cryptorchidism)

고환이 음낭 내로 완전히 내려오지 않고 도중에 머물러 있는 상태를 말한다. 방치해 두면 정자형성 능력이 창애를 받아 불임증의 원인이 된다. 또, 배아세포 총양의 발생빈도가 정상 고활에 비해 적어도 4배는 높아진다

 

고환염 (orchitis)과 부고환염 (epididymitis)

염층은 상행 감염으로 발생하는 것이 많기 때문에 고환보다 부고환에 생기기 쉽지만, 유행성 이하선염이 발생하면 바이러스가 혈행성으로 고환에 도달해 고환염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소아에서는 비교적 적지만, 성인 유행성이하선염 환자의 약 20%에서 고환염이 발병한다. 염증이 심할 경우에는 광법위하게 반흔이 형성되고 정세관의 위축과, 변성이 진행되는데, 양쪽에 생겼을 경우에는 남성 불임증의 원인이 된다. 결핵도 부고환에서 발생하기 쉽다(결핵성 부고환염). 부고환에서는 정자가 관외로 빠져 나가 육아좋성 염증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정자육아총), 이 경우 거대세포를 함유한 육아종성 반응이 보이므로 결핵과 감별해야 한다. 성감엽증인 클라미디아(chlamydia)에 의한 부고환염도 증가하고 있다.

 

남성 불임증 (male sterility)

성교 능력에는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남성쪽에 원인이 있는 불임을 남성불임증이라고 한다. 이 경우, 정액은 무정자증 혹은 립정자중을 나타내퍼, 고한의 조직소점에서도 정자형성세포의 현저한 감소나 성숙정지를 확인할 수 있다(그림 17-20) 앞에서 발한 잠복고환증이나 이하선염 바이러스에 의한 고환엄, 방사선 노출 등이 원인인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원인불명의 특발성 남성불임중이다. 불임증 검사를 계기로 많이 발견되는 질환으로는 염색체 이상인 클라인펠(klinefelter) 증후군이 있다.

클라인펠터 증후군은 성염색체 이상에 의해 발생한다. X염색체를 두 개 이상, Y염색체를 한 개 이상 합유하여 염색체를 구성하는데, 47XXY인 경우가 많다. 이것은 남성불임증의 약 5%0를 차지한다. 양쪽에 고환이 있지만 작고 단단하며. 대부분은 무정자증이다. 고환조직에 생식세포가 부족한 경우에 많으며, 라이디히(leydig)세포의 결절성 증식이 나타나는 경우가 적지 않지만, 보통 혈중 안드로젠은 상승하지 않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