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사1 제1장 병리학이란 무엇인가?-② 1-3 질환의 병인과 병리학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병인, 즉 병의 원인을 알아야 비로소 질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3 년에 맹위를 떨쳤던 SAR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도 원인 또는 그 병리가 바이러스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정확한 대응이 가능했던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병리학의 큰 대상은 질환의 원인이나 성립, 즉 병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예로부터 병인은 크게 나누어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으로 분류되였다. 그리고 외부 요인은 다시 아래와 같이 5가지로 나누어졌다. 1. 생물학적 인자 : 이른바 감염증을 일으키는 세균, 바이러스, 리케치아, 기생충 등이다. 이 생물학적 인자를 밟히는 것이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두.. 2023. 1. 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