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④> ▶심근병증 (cardiomyopathy) 심근에 어떤 원인이 있어 임상적으로 진행성 심부전이나 돌연사를 일으키는 병을 심근병증이라고 총칭한다. 다만,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성 심질환, 판막증 및 선천성 심질환은 제외한다. 심근병증에서 원인이 불명확한 것은 특발성 심근병증으로 분류되고, 원인이나 전신 질환과의 관련이 분명한 것은 특정 심근병증으로 분류된다. (1) 특발성 심근병증 (idiopathic cardiomyopathy) ① 비대형 심근병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좌심실 심근에 비정상인 비대와 확장기 심박출량의 저하가 보이는 심근병증이다. 형태학적인 특징은, i) 심실벽이 고르지 않게 두꺼워지는 경우(asymmetrical hypertrophy: ASH) ii.. 2023. 1. 10.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②> ▶ 허혈성 심질환 éischemic heart disease) 관상동맥부전(coronary insuficiency)에 의해서 일어난 허혈성 심근병변을 총칭하여 허혈성 심질환이라고 하는데, 심근경색 및 협심증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여기서 관상동맥부전이라는 것은 심근에 필요한 관상동맥의 혈류량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태로서, 그 원인을 표 11-2에 제시해 놓았다. (1)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① 발생과 분포 심근경색이란 관상동맥의 페색으로 인해 넓은 범위의 심근이 허혈성 괴사에 빠진 상태를 말한다. 페색은 세 개의 주된 가지(좌관상동맥 전하행지, 좌관상동맥 회선지, 우관상동맥)에서 자주 발생하며, 경색소는 이들 페색 가지의 지배 영역과 일치하고 있다(그림 11-5). 예를 들어.. 2023. 1. 9.
제1장 병리학이란 무엇인가?-① 동서양을 불문하고 병리학은 상당히 어렵고 문턱이 높은 학문체계라고 생각해 왔다. 특히 병리학에는 외워야 하는 복잡한 용어와 정의 등이 많으며, 현미경 등의 영상 소견이 기본이 되고 있어서 논리적이라기보다는 경험적인 요소를 근거로 해서 발전해 가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1-1 우리는 왜 병리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병리학은 영어로 표기하면 Pathology이다. 이것은 원래 그리스어로 병이라는 의미의 "Pathos`와 학문을 의미하는 `Logos`가 합쳐진 말이다. 이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병리학(병이나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며, 또한 병의 성립과 원인. 경과 등 모든 질환의 기본적인 면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이처럼 병리학은 현재 동서양을 불문하고 병을 취급하거나 병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2023. 1.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