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화기4

□ PATHOLOGY <소화기[간·담도·췌장]-①> 간염 바이러스의 지속감염은 만성 간염과 간경변, 그리고 간세포암을 일으키므로 예후가 나쁘기 때문에, 긴급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질환의 하나이다. 간장애는 바이러스 외에 알코올, 비만, 약물 등, 그 원인이 다양하여 각 질환의 특징적인 병리상과 공통되는 병리상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은 몸 속에서 대사를 주관하는 중요한 장기로서, 다양한 원인으로 생긴 간의 장애가 전신에 미치는 장해를 간을 중심으로 해서 생리학, 해부학과 함께 정리해 보자. 그러한 측면서 볼 때, 담도와 췌장도 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최근 중가 경향에 있는 담도암과 담낭암, 취장암은 담관과 문맥을 함께 연관시키면 간과 공통된 병태를 초래한다. 또한 담석증, 취장염 등의 특징적인 질환에 대해서도 살퍼보기로 하자. .. 2023. 1. 15.
□ PATHOLOGY <소화기[하부소화관]-장 질환-②> ▶종양 소장에서는 종양이 매우 드물게 나타나지만, 십이지장의 Vater 유두부에는 선종이나 암종이 발생한다(Vater 부분의 암에 대해서는 ' 쉐장' 항목을 참조). 대장에서는 직장이나 S상결장에 많이 발생하지만, 대장의 어디에도 발생할 수 있다. 선종은 대부분 폴립을 형성한다(그림 13-12). 대장암은 최근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암 중에서 3위를 차지하고 있다. 악성 중피종은 복막을 덮고 있는 중피세포의 중양으로, 홍강 내에 발생하는 것과 동일하다( '호흡기' 항목을 참조). (1) 선종 (adenoma) 대장의 종양 중에서 가장 많은 것이 선관을 형성하는 상피성의 양성 종양인 선종이다. 종양 세포의 증식에 따라 갈색의 융기성 점막병변을 형성하기 때문에 폴립이라고 불린다. 약간 응기된 폴립을 비롯해.. 2023. 1. 14.
□ PATHOLOGY <소화기[상부소화관]-위 질환> [ 위 질 환 ] ▶기형 유문협착증(pyloric stenosis), 게실이나 이소성 춰장 등이 있다. ▶위염 (gastritis) (1) 급성 위염 점막의 미란성 손상을 말한다. 미란은 점막에 국한된 조직의 결손을 말한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점막의 괴사나 출혈을 동반하는 삼출성의 변화가 보인다. 스트레스, 부식독, 알코올이나 그 밖에 약제, 기생충, 헤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 그림 13-4)나 진균류 등이 병의 원인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경을 통한 혈관반응으로 점막에 일과성 허혈이 일어나 조직이 손상된다. (2) 만성 위염 (위축성 위염, B형 위염) 점막 고유총에 림프구나 형질세포 등의 염증세포가 침윤해, 만성 염증이 일어나는 병태이다. 주된 원인은 헤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다. 만성 .. 2023. 1. 13.
□ PATHOLOGY <소화기[상부소화관]-구강질환, 치아 및 치조 질환> 소화기는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입에서 항문까지를 소화관이라고 한다. 침샘, 간이나 춰장 등은 소화관에서 부속샘으로서 발생한 것으로 이들 장기나 담도계도 소화기에 포함된다. [소화관의 구조와 기능] 입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은 성인의 경우 약 9m 정도의 관모양 구조물(그림 13-1)이다. 내면은 점막으로 덮여 있지만 구강, 인두와 식도는 중충편평상피로 덮여 있고, 위와 장은 원주상피로 덮여 있다. 또 항문부위는 중총편평상피로 덮여 있다. 입에서 음식물을 씹기 위해서는 침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침샘에는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이 있다. 침샘에서는 장액과 점액이 분비되는데 여기에는 아밀라제(전분 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다. 인두에는 편도라고 불리는 발달된 림프 장치..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