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병리3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③> ▶ 심내막염과 판막증 (1) 심내막염 (endocarditis) 심장내막에 발생한 염증이다. 심장판막은 심장내막이 특수하게 분화한 것이지만 심내막염의 대부분은 이 심장판막에서 발생하고 있다. 또한, 높은 혈류압이 작용하는 부위에서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우심계보다는 좌심계에, 특히 승모판과 대동맥판에 서 많이 발생한다. 특히 우심계에서 발생한 심내막염의 대부분은 중심정맥 영양과 관련이 있다. 심내막염은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잘 발생하지 않으며, 기저질환을 배경으로 발병한다. 기저질환으로는 악성종양 등의 소모성 질환, 심각한 감염증, 류마티스열이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의 교원병이 있다. 소모성 질환의 말기에 불 수 있는 것을 종말기 심내막염(terminal endocarditis)이I라 하고, 전신성 홍.. 2023. 1. 10.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②> ▶ 허혈성 심질환 éischemic heart disease) 관상동맥부전(coronary insuficiency)에 의해서 일어난 허혈성 심근병변을 총칭하여 허혈성 심질환이라고 하는데, 심근경색 및 협심증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여기서 관상동맥부전이라는 것은 심근에 필요한 관상동맥의 혈류량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태로서, 그 원인을 표 11-2에 제시해 놓았다. (1)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① 발생과 분포 심근경색이란 관상동맥의 페색으로 인해 넓은 범위의 심근이 허혈성 괴사에 빠진 상태를 말한다. 페색은 세 개의 주된 가지(좌관상동맥 전하행지, 좌관상동맥 회선지, 우관상동맥)에서 자주 발생하며, 경색소는 이들 페색 가지의 지배 영역과 일치하고 있다(그림 11-5). 예를 들어.. 2023. 1. 9.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①> 순환기는 혈액이나 림프액의 수송을 담당하는 장기로서 심장과 혈관(동맥, 모세혈관, 정맥) 및 림프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은 혈액을 박출하는 펌프의 역할을 하는데, 심장에서 박출된 혈액은 동맥에 의해 말초조직의 모세혈관으로 운반되어 산소. 영양소와 탄산가스 노폐물을 교환하여,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되돌아간다. 모세혈관에서 누출된 액체는 림프액이 되어 조직 간질을 윤택하게 하고 물질을 확산, 교환한 다음 모세림프관에 흡수되어 집합 림프관, 주간 림프관, 및 흉관을 거쳐 왼쪽 정맥 각에서 혈관계에 합류한다. 혈관계 림프 관계는 온몸의 장기나 조직의 구석구석에 분포되어 있는데 이것을 면적으로 계산하면 성인의 경우 약 1,000m가 되며 그 용량은 약 20리터나 된다. ○ 심 장 ▶ 선천성 심질환(심장기.. 2023. 1. 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