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52 제2장 세포 손상과 세포 증식-① 인체에는 많은 장기가 있으며, 그것들이 복잡하게 기능하면서 통합되어 전체적인 기능을 하고 있다. 그 장기의 구성 성분은 조직이며, 또 그 `조직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장에서는 그 세포의 형태와 기능, 그리고 증식 손상, 죽음과 같은 근본적인 현상의 병리와 병태생리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2-1 세포의 미세구조와 기능 세포는 각각의 장기와 조직에서 독자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각 장기와 조직은 다른 것과 공통되는 세포군과 또 독자적인 세포군을 가지고 있다. 질병, 또는 그 초기단계라고 생각되는 병변이 발생했을 때는 반드시 거기에 대응하는 병태가 생긴다. 형태학적인 변화가 세포 속과 세포 밖, 양쪽 모두에서 나타나지만, 이 장에서는 우선 세포 속의 정상구조에 관해 설명한 다음에 병적인 상.. 2023. 1. 9. 제1장 병리학이란 무엇인가?-② 1-3 질환의 병인과 병리학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병인, 즉 병의 원인을 알아야 비로소 질환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003 년에 맹위를 떨쳤던 SAR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도 원인 또는 그 병리가 바이러스라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정확한 대응이 가능했던 것이다. 따라서 앞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병리학의 큰 대상은 질환의 원인이나 성립, 즉 병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예로부터 병인은 크게 나누어 외부 요인과 내부 요인으로 분류되였다. 그리고 외부 요인은 다시 아래와 같이 5가지로 나누어졌다. 1. 생물학적 인자 : 이른바 감염증을 일으키는 세균, 바이러스, 리케치아, 기생충 등이다. 이 생물학적 인자를 밟히는 것이 질환의 예방이나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는 것은 두.. 2023. 1. 8. 제1장 병리학이란 무엇인가?-① 동서양을 불문하고 병리학은 상당히 어렵고 문턱이 높은 학문체계라고 생각해 왔다. 특히 병리학에는 외워야 하는 복잡한 용어와 정의 등이 많으며, 현미경 등의 영상 소견이 기본이 되고 있어서 논리적이라기보다는 경험적인 요소를 근거로 해서 발전해 가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1-1 우리는 왜 병리학을 공부해야 하는가? 병리학은 영어로 표기하면 Pathology이다. 이것은 원래 그리스어로 병이라는 의미의 "Pathos`와 학문을 의미하는 `Logos`가 합쳐진 말이다. 이 어원에서 알 수 있듯이 병리학(병이나 질환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며, 또한 병의 성립과 원인. 경과 등 모든 질환의 기본적인 면을 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이처럼 병리학은 현재 동서양을 불문하고 병을 취급하거나 병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정.. 2023. 1. 8. 건강을 위해 무조건 하나를 멈춘다면.. 무엇일까요? 오랜 기간 병원을 운영하며 부쩍 몸이 말을 듣지 않는다며 찾아오는 환자들이 많다. 그 환자들은 나이가 들어서라고 말하지만 나이 들어서 아픈 것이 절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변화가 필요하다는 신호! 당장 생활 습관을 바꿔야 한다. 건강과 면역력을 키워주는 마법의 약은 없지만, 면역 체계와 신체 시스템을 튼튼하게 만드는 생활 방식은 분명히 존재한다. 중년의 환자들이 노화를 피하고 면역 회복력을 높여 활력 넘치는 몸을 만드는 방법을 소개한다. - 짧은 단식! 강추! 먼저 일정한 시간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으면 전체 식사량이 줄며 섭취 칼로리가 줄어든다. 또 소화기는 휴식하고 충전할 때 더 잘 작동하는데 단식 기간 동안 소화의 에너지를 투입하지 않으니 몸에서 자체 수리를 진행할 수 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2022. 12. 22. 이전 1 ··· 10 11 12 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