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분비계5

□ PATHOLOGY <내분비계[췌장, 내분비선의 질환]-⑤> ▶췌장 랑게르한스섬 췌장은 후복막에 있는 장기로 외분비 기능과 내분비 기능을 가지고 있다. 췌장은 내분비 기능이 당대사에 깊이 관여하고 있으며, 당뇨병은 내분비질환 중에서 가장 많이 알려져 있는 질환이다.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작용 췌장의 내분비 기능은 랑게르한스섬이라 불리는, 75~175의 경계가 분명하고 산발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구조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그림 14-10A). 사람의 췌장 랑게르한스섬의 구성세포로는 네 종류가 있다. 글루카곤(glucagon)을 분비하며 전체의 30% 정도를 차지하는 A세포, 인슐린(insulin)을 분비하며. 전체의 60% 이상을 차지하여 랑게르한스섬의 중심을 이루는 B세포가 있다. 그리고 랑게르한스섬의 10% 정도를 차지하며 소마토스타틴(somatostatin)을.. 2023. 1. 18.
□ PATHOLOGY <내분비계[부신]-④> 부신은 태생학적으로 서로 다른 피질과 수절로 이루어져 있다. 전자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후자는 에피네프린과 같은 카테콜라민을 합성해서 분비한다. ▶부신피질 (adrenal cortex) (1) 부신피질 부신피질은 우리 몸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스트레스에 대응해 항상성을 유지하는 데 가장 큰 도움을 주고 있다. (2) 부신피질의 작용 태아기 이후의 사람 부신피질은 형태학적으로 구상총, 속상충, 망상증의 3층으로 나누어진다(그림 14-7). 이들 세 개의 총은 돌연사인 경우에 볼 수 있는 것처럼 부신이 전혀 스트레스를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특징에 따라 형태학적으로 감별하는 것이 비교적 쉽다(그림 14-7). 부신피질 호르몬은 콜레스테롤에서 코르티좋이나 알도스테론과 같은 생물학적 활성이 높은 스테로이드호르.. 2023. 1. 17.
□ PATHOLOGY <내분비계[갑상선과 부갑상선]-③> [갑상선] 갑상선이란 갑상선호르몬을 합성하고 분비하는 내분비장기이며, 갑상선질환은 내 분비질환 중에서 가장 발병빈도가 높다. ▶갑상선의 작용 갑상선은 기관(했짧)의 앞벽에서 측벽에 걸쳐 있으며 주로, 여포를 형성하고 있는 여포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여포세포로부터 트라이요오드 타이록신(T3), 타이록신(T4)과 같은 갑상선호르몬이 합성되어 분비된다. 또 갑상선 여포 사이에는 C세포가 존재하고 있어, 이것이 골(뼈) 흡수를 억제하고 혈중 칼습농도를 저하시키는 칼시토닌을 합성해서 분비하고 있다. 갑상선호르몬의 중요한 원료의 하나는 요오드이다. 갑상선호르몬의 합성, 분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뇌하수체전엽에서 분비되는 갑상선자극호르몬이다. ▶갑상선의 질환 (1) 갑상선종 goiter-갑상선의 과형성 .. 2023. 1. 17.
□ PATHOLOGY <내분비계[시상하부와 뇌하수체]-②> ▶시상하부-뇌하수체 시상하부-뇌하수체계는 생체 조절계의 중추를 차지하고 있으며, 생체계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여러 내분비선을 제어하는 상위호르몬을 분비, 합성하여 생체 전체의 활동을 제어하고 있다. ▶시상하부-뇌하수체의 작용 시상하부(hypothalamus)는 그림 14-4에 나타나 있듯이, 제3뇌실의 바닥을 이루고 있으며.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신경세포의 집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들을 총칭하여 핵이라고 부른다. 이 가운데 시삭상핵 (supuraoptic nucleus: SON), 방실핵(paraventricular nucleus: PVN)의 신경축삭돌기가 다발을 형성하여 아래쪽으로 향하고 있다. 이것을 뇌하수체줄기(pituitary stalk)라고 하며, 그 종말부위를 신경뇌하수체후엽이라고.. 2023. 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