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순환기6

□ PATHOLOGY <순환기(혈관) - ①> ▶고혈압증 (hypertension) 체순환의 동맥혈압이 병적으로 높은 상태를 말한다. WHO 판정 기준에는 수축기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확장기 혈압이 90mmHg 이상으로 정해져 있다. 수축기 혈압이 130mmHg 미만이고 또 확장기 혈압이 85mmHg 미만을 정상 혈압, 그 사이의 수축기 혈압 130-139mmHlg 또는 확장기 혈압 85-89mmHg를 정상 고혈압으로 진단한다. (1) 고혈압증의 분류 본태성과 이차성으로 분류한다. 본태성 고혈압증은 원인이 불명확한 것으로서, 고혈압증의 90% 이상이 여기에 속한다. 유전적 소인이 있어 중년 이후에 발병하며, 고령이 될수록 진행된다고 알려져 있다. 한편, 이차성 고혈압중은 고혈압이 특정 질환에 동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신장질환,.. 2023. 1. 11.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⑤> ▶심비대와 심부전 (1) 심부전의 원인 심부전(cardiac failure)이란 심장이 말초가 필요로 하는 박출량을 공급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그 원인을 표 11-5에 제시해 놓았다. (2) 부하의 증가와 심비대 심장은 부하의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심장중량이 증가(심비대)된다. 비대해진 심장의 형태는 부하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진다. 좌심실에서 하는 일의 양은 심실내압과 박출량의 곱으로 나타내는데 이것으로 알 수 있듯이, 두 종류의 부하는 구별된다. 하나는 압력부하(pressure load )로서 고혈압이나 대동맥판 협작이 있는 경우에 증가한다. 하나는 용적부하(volume load)로서 승모판 페쇄부전이나 대동맥판 폐쇄부전이 있는 경우에 증가한다. 압력부하에서는 심실벽이 두꺼운 구심성 비대심장(co.. 2023. 1. 10.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④> ▶심근병증 (cardiomyopathy) 심근에 어떤 원인이 있어 임상적으로 진행성 심부전이나 돌연사를 일으키는 병을 심근병증이라고 총칭한다. 다만, 허혈성 심질환, 고혈압성 심질환, 판막증 및 선천성 심질환은 제외한다. 심근병증에서 원인이 불명확한 것은 특발성 심근병증으로 분류되고, 원인이나 전신 질환과의 관련이 분명한 것은 특정 심근병증으로 분류된다. (1) 특발성 심근병증 (idiopathic cardiomyopathy) ① 비대형 심근병증 (hypertrophic cardiomyopathy: HCM) 좌심실 심근에 비정상인 비대와 확장기 심박출량의 저하가 보이는 심근병증이다. 형태학적인 특징은, i) 심실벽이 고르지 않게 두꺼워지는 경우(asymmetrical hypertrophy: ASH) ii.. 2023. 1. 10.
□ PATHOLOGY <순환기(심장) - ③> ▶ 심내막염과 판막증 (1) 심내막염 (endocarditis) 심장내막에 발생한 염증이다. 심장판막은 심장내막이 특수하게 분화한 것이지만 심내막염의 대부분은 이 심장판막에서 발생하고 있다. 또한, 높은 혈류압이 작용하는 부위에서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우심계보다는 좌심계에, 특히 승모판과 대동맥판에 서 많이 발생한다. 특히 우심계에서 발생한 심내막염의 대부분은 중심정맥 영양과 관련이 있다. 심내막염은 건강한 사람에게서는 잘 발생하지 않으며, 기저질환을 배경으로 발병한다. 기저질환으로는 악성종양 등의 소모성 질환, 심각한 감염증, 류마티스열이나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등의 교원병이 있다. 소모성 질환의 말기에 불 수 있는 것을 종말기 심내막염(terminal endocarditis)이I라 하고, 전신성 홍.. 2023. 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