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병리학40

□ PATHOLOGY <소화기[상부소화관]-위 질환> [ 위 질 환 ] ▶기형 유문협착증(pyloric stenosis), 게실이나 이소성 춰장 등이 있다. ▶위염 (gastritis) (1) 급성 위염 점막의 미란성 손상을 말한다. 미란은 점막에 국한된 조직의 결손을 말한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점막의 괴사나 출혈을 동반하는 삼출성의 변화가 보인다. 스트레스, 부식독, 알코올이나 그 밖에 약제, 기생충, 헤리코박터 파일로리(H,pylori, 그림 13-4)나 진균류 등이 병의 원인이다. 스트레스를 받으면 신경을 통한 혈관반응으로 점막에 일과성 허혈이 일어나 조직이 손상된다. (2) 만성 위염 (위축성 위염, B형 위염) 점막 고유총에 림프구나 형질세포 등의 염증세포가 침윤해, 만성 염증이 일어나는 병태이다. 주된 원인은 헤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이다. 만성 .. 2023. 1. 13.
□ PATHOLOGY <소화기[상부소화관]-침샘, 턱, 식도 질환> [ 침 샘 질 환 ] ▶염증성 질환 여기에서는 대표적인 쉐그렌 종후군과 미쿨리츠 증후군에 대해서 살퍼보겠다. (1) 쉐그렌 증후군 (Sjogren syndrome) 건조성 각절막염, 구강건조종 및 침샘. 귀밑샘이 부어오르는 중상이 나타나며, 면역학적 기전에서는 침샘이 파괴되는 질환으로서 눈물샘도 손상된다. 30~50대의 중년여성에게 많으며.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다른 교원병을 동반하기 쉽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침샘의 선방, 도관의 위축 및 림프액 여포형성을 동반하는 강한 림프구 침윤을 볼수 있다(그림 13-2). (2) 미쿨리츠 증후군(Mikulicz syndrome) 침샘, 눈물샘 양측에 통증이 없이 부어오르는 증상을 동반한다. 백혈병의 침윤이나 육아종성의 염종이 원인이 되는 경우도 있지만, 주로 쉐그.. 2023. 1. 13.
□ PATHOLOGY <소화기[상부소화관]-구강질환, 치아 및 치조 질환> 소화기는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에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기관이다. 입에서 항문까지를 소화관이라고 한다. 침샘, 간이나 춰장 등은 소화관에서 부속샘으로서 발생한 것으로 이들 장기나 담도계도 소화기에 포함된다. [소화관의 구조와 기능] 입에서 항문까지의 소화관은 성인의 경우 약 9m 정도의 관모양 구조물(그림 13-1)이다. 내면은 점막으로 덮여 있지만 구강, 인두와 식도는 중충편평상피로 덮여 있고, 위와 장은 원주상피로 덮여 있다. 또 항문부위는 중총편평상피로 덮여 있다. 입에서 음식물을 씹기 위해서는 침샘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침샘에는 귀밑샘, 턱밑샘, 혀밑샘이 있다. 침샘에서는 장액과 점액이 분비되는데 여기에는 아밀라제(전분 분해효소)가 함유되어 있다. 인두에는 편도라고 불리는 발달된 림프 장치.. 2023. 1. 12.
□ PATHOLOGY <호흡기(흉막, 종격) - ⑦> ▶ 흉수 흉강에 저류하는 액체에 따라 기흉(pneumothorax), 수흉(흉수, hydrothorax), 혈흉(hemothorax), 농흉(pyothorax)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흉막염과 농흉 흉막염은 폐렴에 이어서 발생하거나 또는 혈행성으로 세균이 퍼짐에 따라 발생한다. 감염성인 것 외에도 SLE나 RA와 같은 결합조직질환에서도 흥막염이 생긴다. 흉막 플라크(pleural plaques)는 석면에 노출되어 생기는 반점 모양의 유리상 결합조직성의 증식으로 매우 단단하다. 전이성 종양에 의해서 물이 정체되는 경우가 많아 예로부터 암성 흉막염(pleuritis carcinomatosa)이라고 한다. 농흉은 흉강에 고름이 정체되는 것으로 결핵성인 경우가 많다. ▶기흉 흉강에 문자 그대로 공기가 들어간 ..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