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임상병리학40

□ PATHOLOGY <호흡기(하기도;기관, 기관지, 폐) - ⑥> (2) 원발성 폐종양 ① 폐편평상피암 흡연과 가장 관계가 깊은 폐암으로, 서양에서는 가장 많은 형태이다. 성별로는 남성에게 압도적으로 많다. 절반 이상은 폐문부의 큰 기관지에 발생하며(그림 12-19), 말초에 무기폐, 폐색성 폐럼, 기관지폐렴과 합병된다. 종양 중심부는 괴사되어 공동을 형성하기 쉽다. 조직학적으로는 중총편평상피와 유사해서 충실한 폐포병소가 만들어지고 기저세포에서부터 각화에 이르는 층 상태의 구조를 나타낸다. 전자현미경으로는 당김미세섬유(tonofilament) 다발이나 부착반(desmosome) 결합이 보이며, 면역조직화학적으로는 사이토케라틴(cytokeratin)이 양성이다. 소용돌이치는 모양으로 배열된 암조직의 중심부에 둥근 각화 병소(암진주, 그림 12-20)가 보인다. 각화의 정.. 2023. 1. 12.
□ PATHOLOGY <호흡기(하기도;기관, 기관지, 폐) - ⑤> ▶ 폐기종 (pulmonary emphysema) 폐가 불가역성으로 지나치게 팽창된 상태를 말한다. 보통은 폐포성 폐기종을 말하지만, 간질성 폐기종도 있다. 후자는 천식, 배아세포종(blastocytoma) 등의 과도한 압력이나 외상에 의해서 페의 간질에 공기가 유입된 상태를 말한다. 홍막 조직에 공기가 저류하는 것을 블레브(6bleb)라고 한다. 폐간질에 국한되지 않고, 종격, 전홍벽이나 경부(목)에 피하기종을 동반하는 경우도 많다. 폐포성 폐기종은 종말세기관지에서 말초 영역에 걸친 벽의 파괴, 탄성의 감소로 인해 불가역성으로 폐포강이 확장된 상태를 말한다. 고령자에게서 흔히 발생하며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천식 등의 기저질환에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중상은 흥곽의 확대, 운동시의 호흡곤란, 천명 등으로 .. 2023. 1. 12.
□ PATHOLOGY <호흡기(하기도;기관, 기관지, 폐) - ④> (3) 폐결핵증 결핵균의 초감염이라고 하는 것은 미감염자가 결핵균에 처음으로 감염되는 것을 말하며, 이미 감염되었던 적이 있는 사람이 다시 감염되는 것은 재감염이라고 한다. 초감염은 대부분 결핵균을 포함하고 있는 비말(droplet)을 흡입해서 일어난다. 결핵의 초감염은 결코 결핵증상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초기 변화군(primary complex)이라는 것은 폐 속에 있는 초감염 병소(Ghon' s focus)와 거기에 대응하는 폐문 림프절절핵을 아울러 의미하는 것이다. 초기 변화군이 활동성으로 크게 퍼지는 경우는 초감염에 이어 발병하는 것으로, 이것을 초기 결핵증(일차 결핵증)이라고 한다. 그에 비해 성인의 결핵증은 오랫동안 비활동성이었던 초감염 병소가 재발된 형태를 나타낸다. 체내성.. 2023. 1. 11.
□ PATHOLOGY <호흡기(하기도;기관, 기관지, 폐) - ③> ▶순환장애 (1) 폐부종 (pulmonary edema) 폐포 안에 장액이 가득 찬 것을 말한다. 급성 좌심부전에 의해서 일어나지만, 그 밖에 중추신경성 요인이 있거나 수술 후 등에도 일어난다. (2) 폐울혈 (pulmonary congestion) 급성과 만성이 있는데, 급성인 경우는 급성 좌심부전에서 일어난다. 만성 폐올혈은 승모판 협착종 등의 판막종, 좌심부전, 심장기형 등으로 일어나며, 페가 암적색으로 경화된다(갈색경화). 모세혈관에서 누출된 적혈구를 대식세포가 탐식해, 헤모시데린이 된 것을 심부전세포(heart failure cell) 라고 한다. (3) 폐의 출혈성 경색 (pulmonary hemorrhagic infarction) 대순환계의 정맥혈전이 폐동맥에 헐전색전을 일으켜, 혈관이 심하.. 2023. 1.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