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45 □ PATHOLOGY <생식기[자궁체부의 질환-②]> (2) 자궁체암(자궁내막암)(uterine corpus carcinoma) 서양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근래에 증가하는 경향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폐경 후(60세 이후)에 많이 발생한다. 부정 성기출헐이 주된 증상이다. 상당수의 내막암은 그 발생에 에스트로젠이 관여한다고 생각되며, 암 발생의 위험인자로는 출산 경력이 없는 부인, 고혈압, 비만, 당뇨병, 만기 폐경., 난소좋양의 합병 등을 들 수 있다. 육안으로는 흔히 폴립모양의 융기성 종양을 볼 수 있지만. 광법위한 비후를 나타내기도 한다. 조직학적으로는 대부분이 선암이며, 80% 정도가 유내막선암(endometrioid adenocarcinoma)이다(그림 17-7). 분화도에 따라서 고분화(G1), 중분화(G2), 저분화(G3)로 아분류한다. 다른.. 2023. 1. 29. □ PATHOLOGY <생식기[자궁체부의 질환-①]> [자궁체부의 질환] 자궁체부(uterine corpus)는 내강쪽으로부터 자궁내막(endometrium), 자궁근층(myometrium), 자궁외막으로 나눈다. 자궁내막은 내막선과 간질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이 근육충 쪽의 기저총과 내강족의 기능층을 형성하고 있으며., 성적 성숙기가 되면 후자는 호르몬의 영향에 의해 주기적 변화를 나타낸다. 즉, 에스트로겐의 작용에 의해 증식기 후에 수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배란 후에 분비기의 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기능층이 떨어져 나가고 월경기가 된다. 분비기간은 대략 14일로 일정하기 매문에, 월경 주기가 길어지고 짧아지는 것은 충식기간의 길고 짧음에 영향을 받는다. 자궁근층은 두꺼운 평활근 다발로 이루어져 있으며, 자궁외막은 복강에 인접한 장막조직이다. ▶자궁내막.. 2023. 1. 28. □ PATHOLOGY <생식기[질의 질환, 자궁경부의 질환]> [질의 질환] 질은 질전정에서 자궁질부에 이르는 관 모양의 기관으로서, 점막은 각화되지 않는 중충편평상피로 덮여 있으며 글리코겐이 풍부하다. 벽은 근층 및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질염 (vaginitis) 질에는 외음부로부터 침입한 일반 세균에 의해 비특이성 질염이 생긴다. 또, 외음부와 마찬가지로 성감염증(STD)으로서 트리코모나스질염. 칸디다질염., 단순혜르페스감염증, 클라미디아감염증 등이 발생한다. 노인성 질염(enile vaginitis)은 페정 후에 생긴다. 에스트로겐 등 여성 호르몬의 활성이 저하되어 질 점막이 위축되고 상재균이 소실됨으로써 감염이 일어나기 쉽다. ▶질의 유총양 병변 (1) 첨형 콘딜로마 (condyloma acuminatum) 외음부와 마찬가지로 사람 유두총 바이러스 감염.. 2023. 1. 27. □ PATHOLOGY <생식기[여성 생식기와 유선-외음부 질환]> *여성 생식기와 유선 여성 생식기는 외음부, 질, 자궁(경부 및 체부), 부속기(난소 및 난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장기에는 염증과 유종양 병변, 총양성 병변이 발생할 수 있다. 염증성 질환으로는 외음부로부터 질과 자궁경부를 침범하는 성감염증이 중요한테 최근에는 AIDS(acquired immunodeficiency syndrome)등의 새로운 질환도 포함하여 염증성 질환이 중가하는 경향이 있어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사람 유두종 바이러스 감염증은 자궁경부암과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유종양 병변 중에서 자궁내막증은 다른 질환과 혼동하지 말아야한다. 종양성 질환으로는 자궁경부암, 자궁체암, 자궁근총, 난소총양, 응모성 총양 등이 중요하다. 자궁은 그 부위에 따라서 발생하는 종양의 종류가 다.. 2023. 1. 27. 이전 1 2 3 4 5 6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