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리학43

□ PATHOLOGY <운동기관-①> 운동기관은 뼈, 관절, 근육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총판 구조를 가진 딱딱한 조직이며, 몸의 기둥으로서 근육의 부착부위가 되어 체형을 만든다. 그리고 뇌나 심장, 폐를 보호할 뿐만 아니라, 칼습이나 인의 대부분을 저장하며 미네랄 대사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절은 뼈와 배를 있는 경첩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리고 근육은 신경에서 오는 자극을 받아 수축함으로써 운동이 일어난다. [뼈. 연골 . 관절의 구조와 기능] 뼈(one)는 그 형태에 따라 장관골, 단골, 편평골로 나뉘어지고, 장관골은 다시 골단부, 골단선, 골간단부, 골간부로 구분된다(그림 18-1). 골피질은 두껍고 따딱한 층판골로 되어 있고, 골수에는 격자 모양의 골량이 존재하며(그림 18-2), 그 골량 사이에서 혈액이.. 2023. 2. 2.
□ PATHOLOGY <생식기[남성생식기-③]> [전립선 질환] ▶전립선염(prostatitis) 요도염이나 방광염 등의 요로 감염에 이어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고령자의 경우는 대정균을 비못한 그람음성세군이 원인균인 경우가 많지만, 청장년의 경우는 성감염증이 원인으로 임균이나 클라미디아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염증으로 인해 분비액의 유출장애가 장기간 지속되면, 이것이 농축되고 또 석회침착이 가해져 전립선 결석이 된다. ▶전립선비대증 (benign prostatic hypertrophy; BPH) 전립선을 구성하는 선(윗)과 간질(섬유모세포, 평활근세포, 교원섬유 등이 포함된다)의 양적 증가(과형성)에 의해서 전립선이 결절성으로 커지는 상태를 말하는데, 이것을 결절성 과형성이라고도 한다. 대부분은 중심영역 혹은 이행영역(내선에 발생한다. 50.. 2023. 2. 2.
□ PATHOLOGY <생식기[남성생식기-②]> ▶ 고환의 종양 (testicular neoplasm) 고환에서는 난소와 마찬가지로 배아세포종양이나 성선간질종양 등이 발생한다. 그 중에서도 생식세포에서 발생하는 배아세포종양은 전체 고환좋양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또 그 중에서도 약 95%가 악성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종양 중 하나이다. (1) 배아세포종양 (germ cell tumor) 배아세포총양은 생식세포가 종양화됩으로써 발생하며, 매우 다양한 조직상을 나타낸다. 생식세포가 수정을 거쳐 개체발생에 이르는 경로를 그대로 되풀이하는 형태로 분화의 방향성을 생각하면, 세미노마, 기형종, 난황낭종양, 응모성 종양, 태아성 암 등의 기본형으로 나놀 수 있다(그림 17-21). 예를 들어 기형종은 태아를 구성하는 여러 조직으로 분화하는 종양이라고 이해할.. 2023. 2. 1.
□ PATHOLOGY <생식기[남성생식기-①]> [남성 생식기의 구조와 기능] ▶남성 생식기의 구조 남성 생식기에는 성선인 고환 외에, 부고환, 정관, 정낭, 전립선, 읍경, 음낭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은 모두 생식을 위한 기능과 관련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는 생식기 고유의 질환과 다른 장기와 공통된 질환이 있다. ▶남성 생식기의 기능 고환은 태생 7개월 정도까지 복강 내에서 서혜관을 통해 음낭 내로 내려온다. 좌우1쌍의 각각 편평한 타원체로서, 성인 남성의 경우 긴 지름이 약 3cm 정도이다. 고환은 정자를 만드는 장소이면서 또한 남성 호르몬(안드로겐)을 생산 ㆍ분비하는 내분비 장기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정자는 세르톨리(Sertoli)세포로 지탱하고 있는 정세관이라 불리는 굽은 관 속에서 만들어지며, 정세관과 정세관의 사이에 산재해 있는.. 2023. 1. 31.